리포트

국가자격 반려동물행동지도사 2급

작성자: 대표강사
2025-10-26 18:20
모든 리포트로 돌아가기

“훈련은 감이 아니라 체계입니다.”
처음엔 누구나 명령 타이밍, 보상 타이밍, 동선이 헷갈립니다. 하지만 절차를 알고 체크리스트대로 연습하면 15분 안에 10개 항목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2급 실기 ‘강의에서 실제로 무엇을 배우는지’합격 전략을 담았습니다.


이 강의, 이런 분께 딱이에요

  • 2급 실기 첫 도전이라 전체 흐름을 잡고 싶은 분

  • 명령/핸들링은 하는데 감점 포인트가 뭔지 모르는 분

  • 시간 내 완주안정성을 동시에 끌어올리고 싶은 분


강의에서 배우는 핵심: 10개 항목을 ‘루틴’으로

실기는 총 10개 항목을 정해진 동선·타이밍으로 끊김 없이 수행합니다. 강의는 각 항목을 데모 → 동작 분해 → 루틴 연결 순서로 지도해요.

  1. 견줄하고 동행하기(상보·속보·완보)

    • 느슨한 U자 리드 유지, 좌측 위치 유지, 180°/90° 턴 루틴 정립

    • 속도 전환 구간에서 보행 리듬시선/어깨 각도 교정

  2. 동행 중 앉기

    • 이동 중 지정 지점에서 정확한 앉아3~5초 유지

  3. 동행 중 엎드리기

    • 보행 리듬을 깨지 않으면서 엎드려 전환 + 유지

  4. 동행 중 서기

    • 멈춤 신호, 서/기다려 후 3~5초 유지, 다음 동작 자연 연결

  5. 부르기(와)

    • 13m 대기 → 이리와 → 정면 앉기 → 옆에 앉기(종료 기본자세)

    • 종료 자세 전환(오른쪽 뒤로/왼쪽 붙어 뒤로) 두 방식 모두 연습

  6. 가져오기

    • 지참 물건(덤벨·장난감·공·인형 등) 5m 이상 던지기 → 정면 앉기 → 회수

    • 물건 집기/반납의 핸들링 안정성정면 붙임 훈련

  7. 악수하기

    • 좌/우 한 번씩, 음성+손짓 타이밍 정렬, 종료 기본자세 복귀

  8. 짖기

    • 연속 3회 또는 1회×3회, 명령-반응 일치잡음 최소화

  9. 지정장소로 보내기(하우스)

    • 5m 지정장소 진입 → 엎드려 3~5초이리와/옆에 앉아 복귀

  10. 기다리기(대기)

  • 엎드려-기다려 3분 동안 이탈/자세변경 최소화, 복귀 시 마무리 절차

강의 포인트: 각 항목을 “신호–행동–유지–종료” 4단계 매크로로 몸에 익혀, 시험장 변수가 있어도 루틴이 무너지지 않게 합니다.


수업 방식: 이렇게 진행해요

  • 현장 데모 → 동작 분해 지도 → 1:1 피드백 루프

  • 타이밍 훈련(클리커 없이 음성·손짓 타이밍 정렬), 속도 전환 드릴(상보/속보/완보)

  • 모의평가: 15분 내 10항목 전 구간 재현 + 채점 기준 피드백

  • 영상 리플레이 코칭: 본인 습관(어깨/시선/리드 텐션) 교정


합격을 부르는 득점 전략 5

  1. 안정성 > 화려함: 빠르게·크게보다 한 번에 정확히.

  2. 리드 텐션: 상시 느슨한 U자 유지(당김/끌림 감점 방지).

  3. 명령의 일관성: 같은 상황, 같은 단어·손짓·표정.

  4. 종료 기본자세: 모든 항목 정면 앉기 → 옆에 앉기 마무리 루틴 고정.

  5. 시간 관리: 각 항목 스탠바이–진행–복귀 시간을 미리 체득.


자주 나오는 감점 포인트 10

  • 좌측 위치 흔들림, 리드 긴장 유지(늘 느슨해야 함)

  • 턴에서 몸이 크게 열림/밀림

  • 속도 전환 구간에서 리듬 붕괴

  • 앉아/엎드려/서기 지연 반응 또는 미유지

  • 부르기에서 정면 앉기가 비뚤어짐

  • 가져오기 물건 떨어뜨림/물고 서성임

  • 악수/짖기에서 명령 반복 남발

  • 하우스 진입 후 엎드려 미유지

  • 기다리기 자세 변경/이탈

  • 항목 간 연결 동작 지연으로 시간 압박


준비물·허용 범위(강의/모의평가 공통 가이드)

  • 허용 목줄(버튼·걸쇠형 / 초크체인·프롱칼라·쇠줄 금지), 동물등록 완료 개체

  • 지참 가능: 가져오기용 물건(덤벨·장난감·공·인형), 하우스용 켄넬

  • 지참 불가: 간식·클리커·전자/통신기기 등(시험 공정성 저해 도구)

  • 맹견: 사전 서류 준수, 입마개 등 안전 규정 철저

강의 첫날에 개인 장비 체크리스트를 드립니다. 시험 공고의 최신 허용·금지 항목도 함께 점검해요.


시험장 환경에 맞춘 연습법

  • 실외 트랙 감각: 2급은 실외, 15m × 15m 이상 도식 기준. 실제 거리 감각으로 발 수(8~12보)·턴 각도 연습.

  • 소음·방해 자극 적응: 다른 팀 이동/짖음/기상 변수 속에서도 핸들러 집중 유지 훈련.

  • 동선 미리보기: 스타트–턴–정지–다음 항목 표식 지점을 기준으로 루틴을 외웁니다.


4주 커리큘럼 예시(속성반)

  • 1주차: 규정·장비 점검, 보행 루틴(상보/속보/완보), 턴 디테일

  • 2주차: 동행 중 3종(앉기/엎드리기/서기), 부르기(정면·종료 자세)

  • 3주차: 가져오기(던지기–대기–귀환), 악수/짖기, 하우스(5m–엎드려–복귀)

  • 4주차: 기다리기 3분 완성, 전 항목 루틴 연결+모의평가, 개인 약점 보완


체크리스트(시험 직전)

  • 리드 U자 유지, 좌측 위치 고정

  • 속도 전환 구간과 턴 포인트 암기

  • 종료 기본자세 루틴(정면→옆) 자동화

  • 가져오기·하우스 보상 없이도 안정 수행

  • 기다리기 3분 이탈·자세변경 없음


자주 묻는 질문(FAQ)

Q. 간식 없이도 반응이 약해요.
A. 강의에서 보상 희석 프로토콜(연속 성공률 기반 비율 강화 전환)을 적용합니다. 보상 없이도 유지되는 ‘행동 사슬’을 만들어요.

Q. 속도 전환에서 자꾸 당겨요.
A. 보행 리듬을 핸들러의 보폭·상체 각도·시선으로 통일합니다. 리드로 잡아당기지 않고 몸 신호로 전환을 예고하는 연습을 해요.

Q. 하우스 들어가도 바로 나오네요.
A. 진입–엎드려–3~5초 유지–복귀를 단계별로 분리 훈련 후, 지연 강화를 통해 유지 시간을 점진적으로 늘립니다.


마무리

실기는 “암기”가 아니라 루틴의 자동화입니다.
이 강의는 항목별 코칭을 넘어, 시험장 동선·시간·환경을 그대로 반영해 루틴을 완성합니다.
처음 오셨을 때보다, 더 침착하고 정확한 핸들러가 되어 돌아가실 거예요.

수업 문의 · 실습 예약은 댓글 또는 문의 폼으로 남겨주세요.
(개체 성향/경력에 따라 개별 보완 플랜을 함께 드립니다.)